![1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0_1.jpg) 105동(棟) 동, 북쪽에서 촬영한 건물 모습 ( T 자형 건물)
![2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1_2.jpg) 옥상 북쪽에서 남쪽으로 바라본 옥상 바닥 모습
![3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2_3.jpg) 옥상층 서쪽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세대 앞 베란다 옥상 난간 주변 모습
![4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3_4.jpg) 옥상 남쪽에서 북,동쪽으로 바라본 기존 방수층 모습
![5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4_5.jpg) 옥상 앞 베란다쪽 곤도라 고리 주변 우레탄 폼 들뜬 모습
![6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5_6.jpg) 기존 1차 우레탄 방수층위에 2차 우레탄 폼 작업모습(모두 들뜬상태/실패)
![7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6_7.jpg) 옥상 우수 드레인 주변 손상된 기존 방수층 모습
![8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7_8.jpg) 배관주변은 우레탄 폼 두께를 두껍게 시공 하였으나 근본 공법 적용 실패
![9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8_9.jpg) 2가지 공법 혼용에 따른 부착 불량 및 습기로 인한 부풀음
![10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59_10.jpg) 누름 콘크리트 및 단열재 하부 습기로 인한 우레탄 폼 부풀음 현상
![11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0_11.jpg) 우레탄 폼 하부 습기 건조 불량 및 옥상 바닥 빗물 고임 배수 불량 (상태 악화)
![12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1_12.jpg) 우레탄 폼 하부 설비 배관 부식 누수시 방수 전체 손상 원인
![13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2_13.jpg) 우레탄 공법과 우레탄 폼 공법의 혼용으로 상태 악화
![14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3_14.jpg) 우레탄 폼 하부 우레탄 도막 상태가 누더기 처럼 되어버림
![15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4_15.jpg) 누름 콘크리트 습기 발산에 따른 도막 방수층 동시 들뜬 모습
![16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5_16.jpg) 각종 설비 배관에 뿜어 시공한 우레탄 폼 모습 (배관 누수시 방수층 손상 필수)
![17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6_17.jpg) 손상된 방수층 점검 모습
![18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7_18.jpg) 옥상 동쪽 난간 부분 방수 모습(시방에 따른 정석 시공이 되지 못함)
![19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8_19.jpg) 누름 콘크리트 깨기후 비노출 시트 방수 흔적 보이나 보호 벽돌 쌓기등 시방에 따른 시공이 못됨
![20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69_20.jpg) 근본 파라펫 높이 부족도 문제지만 시트 시공후 보호벽돌 쌓기도 없는 등 시공능력도 의심됨
![21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70_21.jpg) 보호벽돌 쌓기를 하지 않아 난간 안쪽 시트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임
![22.jpg](http://woowon.planw.kr/wp-content/plugins/mangboard/includes/mb-file.php?path=2018%2F02%2F01%2FF1271_22.jpg) 1층~15층까지 내부 편복도 바닥 우레탄 도막 작업은 수년이 지난 현재까지 아주 깨끗함
|